전세계에서 해군력이 가장 강한 미 해군은 전세계 해군력의 60~70%를 차지할 만큼 막강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우주 급 해군력을 잠깐 살펴보면,,




해군 전력 면에서는 이미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 톱 급인 그들이 세계 각국에서 또 한 번 주목 받는 이유는 미 해군이 보유한 군용 병원선 때문입니다. '병원선'이란 말 그대로 바다에 떠다니는 병원으로 의사와 간호사가 상주하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조된 선박을 말합니다. 


▲미 해군이 보유한 머시급(MERCY) 병원선

 

'군사적인 의미의 병원선'은 전투지역과 안전지역의 해상에 배를 상주시켜 전투에서 부상을 입은 병사들을 치료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실제로 6.25전쟁 때에도 덴마크에서 파견한 병원선이 임무를 수행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처럼 병원선은 일반인들에게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전쟁사에서 늘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덴마큼 군용 병원선


평상시에 병원선을 따로 운영하지 않던 국가도 실제 전쟁이 발발하면 유람선이나 여객선, 화물선 등을 징발하여 개조해서 군용 병원선으로 운용하면서 전쟁에서 부상을 입은 병사들의 치료를 돕는데 투입됩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전쟁에서 부상병의 치료 목적보다는 자연재해나 재난이 발생한 국가에 의료지원을 하기 위해 파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단, 이런 경우 병원선의 규모가 상당히 커야 하겠죠.


그리고 병원선은 높은 운영비와 전쟁을 자주 수행하거나 돈이 많은 나라들이 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병원선은 몇 만 톤에 이르기도 합니다. 


그럼, 한국에도 병원선이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병원선은 주로 섬마을 주민들의 진료 목적으로 각 시도에 규모가 작은 5척이 있지만, 전문적인 군용 병원선은 현재 없습니다.


▲경남 511 병원선


▲충남 501 병원선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병원선은 5척으로 충남501, 경남511, 전남511, 전남512, 인천531으로 한 해 예산은 10억 정도 소요되며, 규모는 간단한 진료를 할 수 있는 보건소 정도의 규모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중국의 군용 병원선 20,000톤 급


중국의 병원선은 600개 이상의 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은 현재 2만 튼 급 2척과 2천 톤 급 4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군용 병원선 12,000톤 급


러시아의 군용 병원선의 수용 규모는 의료진 83명, 환자 300명, 군인 650명, 민간인 124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현재 러시아는 3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군용 병원선 70,000톤 급


미국의 군용 병원선의 수용 규모는 12개의 수술실, 20개의 회복실, 80개의 중환자실, 1,000개의 병상, 영안실, 1,000여 명의 의료진을 수용할 수 있으며, 미국은 현재 머시급(MERCY) 병원선을 2척 보유하고 있습니다. 


▲항공모함(10만 톤 급)과 크기가 비슷한 미국의 군용 병원선



그럼 지금부터 군용 병원선도 세계 1위인 미 해군의 머시급(MERCY) 병원선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미국은 군용 병원선을 2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머시함(Mercy)과 컴포트함(Comfort)이 작전 중입니다. 머시함은 1986년 미 해군에 인도되었고, 자매함인 컴포트함은 1987년에 인도되었습니다. 


이들의 활동 범위는 머시함은 태평양, 컴포트함은 대서양에서 활동을 주로 하고 있으며, 미 해군의 머시급 병원선은 세계에서 가장 큰 병원선으로 만재배수량 7만 톤 급으로 길이가 무려 273m에 이릅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걸프전에 배치되어 외래 환자 8,000명, 입원환자 700명을 치료하였고, 수술 총 337회의 작전을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1994년에는 아이티에 파견되어 민간인들 치료에 투입되었고, 911 테러 당시에는 사건 나흘 뒤 맨해튼에 투입되어 응급화자 561명을 치료한 베테랑 군용 병원선입니다. 



2005년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의해 미 대륙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자 이틀 만에 급파되어 태풍 피해 환자 1,956명을 치료하는 등 다양한 재난 지원활동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머시급 병원선에는 의료진 1,000여 명과 승무원 250여 명, 해병 60여 명이 상주하며 지원활동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쟁과 재난으로 대규모 환자가 발생할 것을 대비해 80개의 중환자실과 1,000개의 병동, 12개의 수술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상 병사들의 빠른 회복을 위해 물리치료실과 화상치료실, 검안 시설, CT촬영실, 치과, 안과 등이 있는 일반 대학병원에 준하는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어 말 그대로 떠다니는 대학병원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병원선의 의사들은 모두 총상 수술의 톱 급 베테랑들이며, 병원선 내부에는 5,000명 분의 혈액과 의약품들을 항상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환자의 신속한 수송을 위해 병원선의 선미에는 수송 헬기와 넓은 헬기 착륙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소형 수송선은 육지의 환자를 병원으로 옮기기 위해 항상 대기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송선을 통해 긴급한 환자가 병원선에 도착하면, 


10개의 고속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단 1분 안에 병실로 이동이 가능하여 긴급한 치료가 필요한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군용 병원선은 무장을 할까?


머시급 병원선의 무장으로는 탑승한 60여 명의 해병이 소지한 총기와 선체 상부에 있는 중기관총이 병원선의 자위용 무장의 전부입니다.


군용 병원선은 국제법에 따라 보호받을 수 있지만, 육안으로 봤을 때, 병원선임을 알 수 있도록 대형 적십자 마크를 부착하여 군용선임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투 지역 안에는 절대 들어갈 수 없으며, 군수물자나 무장병력 등을 수송하는 역할을 하면 안 되며, 이 규정을 어겼을 때는 병원선이라고 해도 국제법상 보호받을 수 없습니다. 



실제 2차 세계대전 중 미국, 영국, 일본, 나치 독일은 병원선을 공격하여 격침시킨 일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격침사건으로는 나치 독일이 소련의 병원선을 격침시켜 5,000여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일이 있었습니다. 또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미국의 잠수함이 일본 병원선을 격침시킨 일이 있었습니다. (당시 일본 병원선은 병원선의 조건을 지키지 않음)



일본 병원선 격침사건 이후로 일본은 미국이 국제조약을 위반했다며, 대규모 규탄 시위를 했지만 실제 격침 당시 병원선 선체는 검게 도색되어 있었고, 심지어 적십자 마크도 없이 연합군 측에 병원선으로 통고도 하지 않았던 상태였습니다. 이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병원선으로서 지켜야 할 조건들을 준수한 경우에만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세계 1위의 해군 전력을 보유한 미국이 운용하는 2척의 군용 병원선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대양해군을 지양하는 한국 역시 섬 지역만을 진료하는 소형 병원선도 필요하지만 재난 국가 지원 및 유사시 군용 지원으로 운용이 가능한 1만 톤 급 정도의 병원선을 보유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