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미.중의 해양 전력 경쟁이 심화되면서 자연히 한반도 주변 한국의 해양 안보에도 큰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당장은 북한 해군의 비대칭 전력의 위협을 마주하고 있지만,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상 서해와 동해는 중국, 일본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몇몇 섬들을 둘러싼 영토분쟁과 어업 구역에 의한 해상 충돌로 항상 긴장이 고조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최근 해양에서의 주도권 경쟁은 곧 해당 국가의 해군력의 주력인 “이지스함 경쟁”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해군력의 상징으로 알려진 한, 중, 일의 대표 이지스함 중에 최고의 이지스함과 전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먼저 '이지스함'과 '이지스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지스함'은 첨단 레이더 시스템인 이지스 시스템(Aegis system)을 탑재한 함정을 뜻합니다.  

'이지스'의 의미는 그리그 신화의 제우스신이 딸인 아테나에게 준 신의 방패를 의미하는데, '이지스 시스템'은 첨단 레이더르 이용해 목표물을 탐색한 후 파괴까지의 과정을 시스템화시킨 종합 무기체계입니다.



한국, 중국, 일본의 이지스함 보유 현황과 전력 비교



3국의 이지스함의 특징과 대표적인 장점을 보면, 한국이 세종대왕함은 '화력', 중국의 052D함은 '장거리 순항미사일', 일본의 아타고급은 '탄도미사일 요격능력'을 들 수 있겠습니다. 그럼 한국의 세종대왕급 이지스함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한국 해군은 미국, 일본, 스페인, 노르웨이 다음으로 세계에서 5번째로 이지스함을 보유했으며, 현재 3척의 이지스함이 운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3년부터 2027년까지 기존 세종대왕급의 성능 향상과 단점이 보완된 동급의 이지스함 추가로 3척을 실전 배치할 계획입니다. 먼저 언급했듯이 세종대왕급의 가장 큰 장점은 '화끈한 펀치력(타격능력)'을 들 수 있습니다.



만재 배수량 1만 톤급으로 300명의 승무원이 작전에 투입되며, 세종대왕함의 수직발사기(VLS)에는 총 128발의 각종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급의 미국 알레이 버크급과 일본의 아타고급이 96개의 발사대를 탑재한 것보다 무려 32개나 더 많으며, 유사시 동일 시간대에서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이 더 뛰어납니다.


▲미 해군의 타이콘데로가급 이지스함


그리고 대형 이지스함인 타이콘데로가급의 122셀보다 더 많으며, 화력에 있어서는 세계 최강이라고 할 수 있는 이지스함이 바로 세종대왕급 이스함입니다. 세종대왕급의 128셀의 발사관에는 최첨단 국산 및 외국제 미사일의 탑재로 과무장이라고 불릴 만큼 화끈한 화력은 미국을 제외하면 세계 최고의 타격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타격력과 함께 방어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바로 선체의 4면에 장착되어 360도 전 방향을 탐색하는 SPY-1D 위상배열 이지스 레이더입니다. 세종대왕급의 이지스 레이더 시스템은 1000km나 떨어진 항공기와 미사일의 추적이 가능하며, 20개의 목표물과 동시에 교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막강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탄도미사일 요격체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현재 세종대왕급의 SM-2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요격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량이 필요하며, 차기 세종대왕급에는 SM-3 탑제는 필수입니다




중국 052D급 이지스함



중국의 052D급 이지스함은 14척의 실전배치를 목표로 건조 중에 있으며, 란저우급인 052C, 7000톤급 이지스함을 개량한 모델입니다. 052D급의 수직발사관(VLS)에는 총 64개 셀이 있으며, 세종대왕급의 절반 수준으로 화력면에서는 세종대왕급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습니다. 


앞서 말씀을 드렸듯이 052D급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DH-10 장거리 순항미사일인데, 사거리가 1500~2000km에 이르며, 10m 내외의 높은 정확도로 미국의 토마호크와 비슷하거나 더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순항미사일입니다. (토마호크의 복제품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052C의 개량형인 만큼 레이더 시스템과 24기의 단거리 대공미사일 탑재, 130mm 스텔스 함포 등의 개량으로 공격력과 적 대함미사일에 대한 방어능력도 크게 향상된 호위함으로 052D급은 중국의 첫 항공모함 랴오닝을 호위하는 항모호위함의 역할을 수행하며, 적 공격으로부터 랴오닝 항모전단에 200km의 방어막을 형성합니다. 



052D급 쿤밍은 만재 배수량 7500톤으로 준이지스함에 속하며, 길이는 155m, 폭 17m로 승조원은 280여 명 정도이며, 중국이 현재 건조 중에 있는 055형은 가장 최신의 이지스함으로 건조되고 있으며, 만재 배수량 14000톤 급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또한 수직발사기(VLS)는 최소 96~128셀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종대왕급이나 미국의 줌왈트급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무기들을 탑재를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건조 중인 중국의 055형은 기존 중국이 보유한 이지스함 보다 훨씬 진보된 기술과 시스템, 무장력을 갖추고 가까운 미래에 일본뿐 아니라 한국 해군이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본 아타고급 이지스함



일본의 아타고급은 만재배수량 10,000톤으로 공고급과 함께 일본의 주력 이지스함으로 길이 170m, 폭 21m로 승조원은 300명이며, 전투체계는 베이스라인 7.1 채택으로 세종대왕급과 거의 동일한 수준입니다.   



다만, 수직발사기(VLS)는 함수에 32개, 함미에 64개, 총 96셀로 세종대왕급의 128셀보다 32개가 적고, 미국의 알레이버크급을 모델로 했지만 헬기 격납고가 없는 점이 단점입니다. 그리고 아타고급의 무장과 레이더 시스템은 한국의 세종대왕급과 공동구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베이스라인 7.1J과 레이더는 동일한 사양입니다. 

헬기로는 대잠능력을 중시하는 일본이기에 세종대왕급의 링스헬기보다 대잠, 대수상전 능력이 뛰어난 SH-60K 헬기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함께 일본 매체에서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을 하겠다’라는 발표를 자주 하는데, 아타고급은 SM-2R 대공미사일과 함께 미국과 일본이 공동개발하여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SM-3 Block IIA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세종대왕급은 탄도미사일 요격 불가능)


그리고 추가로 아스록 대잠수함 미사일과 90식 대함미사일 4연장 발사기 2기 등을 무장하고 있습니다. 



아타고급은 현재 아시가라함과 2척이 실전배치 중이며, 추가 건조되는 차기 이지스함 2척도 2021년에 모두 실전 배치됨으로서 일본 해군력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일본은 2021년 이후 7,000톤급 이지스함(개량중) 6척과 9,600톤 이상 이지스함을 총 8척 보유하게 되며, 경항모급 헬기구축함인 휴가급과 이즈모급과 함께 항모전단으로 운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마치며, 한국 해군은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도발 외에도 해양에서 세계 해군전력 상위권인 중국과 일본의 해군력 경쟁을 항상 주시해야 하며, 동시에 두 나라를 견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머지않아 한, 중, 일 해양을 둘러싼 분쟁에 대비해 한국 해군은 '다수의 기동전단'의 조기 창설은 필수이며, 해군전력 확충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한국의 사드(THAAD) 배치는 수년 동안 한국과 미국, 중국의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2016년 한국은 사드 배치 논란으로 혼란스러웠고, 2017년 한때 중국의 사드에 대한 경제보복에 관한 기사는 연일 매스컴의 주된 논쟁거리가 되었고, 여러 분야에서 이야기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이처럼 사드(THAAD)배치는 중국에게는 굉장한 거부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런 중국이 한 때 한국의 사드 배치보다 더 긴장했었던 일이 있었는데, 바로 "한국의 이지스함 보유"였습니다. 





한국은 현재 세계 3위 급의 이지스함 3척을 보유 중에 있으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3척을 추가로 실전 배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2020년 이후 한국 해군에 실전 배치될 신규 전력들과 함께 현재 1개 뿐인 해군 기동전단을 3개의 기동전단으로 구성하여 주변국에 비해 약하다고 평가받았던 해군 전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 중국이 사드(THAAD)보다 한국의 이지스함 보유에 더 긴장했었던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해군의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은 강력한 레이더 성능과 세계 최대의 128셀의 수직발사기, 32발의 천룡미사일 등 대형 이지스함으로는 세계에서 미국과 일본에 이어 3번째로 한국 해군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지스 시스템'은 대함 미사일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을 말하며, 이지스 시스템을 장착한 군함을 '이지스함'이라고 말합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에는 'SPY-1D 위상배열 레이더'가 탑재되어 있는데, 선체의 4면에 장착되어 360도 전 방향을 빠짐없이 탐색이 가능한데, 이때 최대 1000km 떨어져 있는 미사일 또는 항공기를 탐지, 추적할 수 있으며, 동시에 20개의 목표물과 교전이 가능합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의 '방공시스템'을 살펴보면


1. SPY-1D 레이더가 목표물을 탐지합니다.

2. SM-2 중거리 대공미사일로 1단계 요격을 실시합니다. 

3. SM-2 미사일의 방공망을 뚫은 목표물은 최대 9.6km 떨어진 곳에서 램 미사일이 요격을 실시합니다. 

4. 램 미사일의 방공망을 뚫은 목표물은 마지막으로 근접방어체계인 30mm 골키퍼가 요격하게 됩니다. 



즉,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의 방공시스템은 하이급에 속하며, 그 동안 한국 해군 함정의 문제로 여겨왔던 허약한 방공망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했다고 볼 수 있는데, 단, 북한의 탄도미사일 요격이 가능한 SM-3 미사일이 없다는 것은 큰 단점이지만 이후 추가 건조되는 3척에는 필히 탑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은 뛰어난 방공시스템을 갖춘 방어용 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중국이 왜 사드(THAAD)보다 한국의 이지스함 보유에 긴장했을까요?



사드(THAAD)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600~800km입니다. 여기서 레이더 탐지거리를 1000km까지 연장하는데 8시간이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실제 한국 해군은 1000km 밖의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SPY-1D 레이더를 2007년 5월 25일 세종대왕함이 진수하면서 탑재하고 있습니다. 



즉, 한국 해군이 이미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을 보유하면서 중국의 동북 지역 군사시설들은 모두 탐지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때문에 중국 입장에서는 사드보다 한국의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의 존재 또한 더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그럼 왜 "사드 배치에는 중국이 저렇게 극구 반대를 하는가?"라고 의문을 품는 분들이 계실 거 같은데.. 중국 매체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드 레이더의 탐지 거리도 중요하겠지만 중국은 중국과 인접한 한반도에 미국이 주도하는 군사 전략 구도가 형성되는 것에 큰 위기의식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2023년부터 추가 배치되는 한국 해군의 이지스함 3척은 그동안 단점이었던 탄도미사일 요격이 가능한 SM-3 미사일까지 탑재하게 되어, 중국 입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무기가 무력화되기 때문에 사드보다는 오히려 한국의 이지스함이 더 위협적인 요소가 됩니다.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의 운용 현황과 계획


1970~80년대 한국 해군의 주력함은 호위함급 또는 초계함급 정도의 울산급, 포항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당시에는 국방예산 자체가 육군에 편중된 이유도 있지만 북한 해군에 대한 연안방어에 한정했기 때문에 이지스함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후 1995년에 한국 이지스 구축함 KDX-3의 건조가 결정되었고, 이전 사업이었던 KDX-1, KDX-2 등 광개토대왕급, 충무공 이순신급 등의 구축함을 진수하면서 쌓인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7년 5월 25일에 1번함 세종대왕함을 진수하였고, 이후 2번함과 3번함이 진수되면서 세종대왕급은 한국 해군의 최고 화력함이자 핵심 전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세종대왕급의 가장 큰 장점인 펀치력은 함선 수량이 부족한 한국 해군의 특성상 128셀의 수직 발사관(VLS)이라는 어마어마한 펀치력을 보유하게 되는데, 비슷한 급의 미 해군의 알레이버크급과 공고급의 96셀, 또는 대형급인 타이콘데로가급이 122셀인 점을 감안하면 세종대왕급의 128셀의 펀치력은 과히 과무장이라고 할 만큼 막강한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28셀의 수직발사관에는 천룡 순항미사일 32기, 홍상어 대잠로켓 16기, SM-2 요격 미사일 80기 등 탑재)




하지만 세계 3위 급의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의 단점 및 꼭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살펴보면.. 


첫째, 과도한 운용비

- 세종대왕급 한 척의 운용비는 충무공 이순신급 6척과 비슷할 정도로 많은 운용비용이 소모됩니다. (연간 350억 원 정도)


▼충무공 이순신급


기본적으로 이지스함은 유지비와 관리비용이 높지만, COGAG 방식의 추진 시스템은 극악할 정도의 연비를 나타내기 때문에 엄청난 유류비용을 발생시킵니다. 


<참고>

​​[COGAG : Combined Gas Turbine and Gas Turbine]

모든 추진체계가 가스터빈 엔진으로 구성되어 통상 항해 및 고속 항해 모두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둘째, 부족한 대잠능력

- 한국 해군의 고질병인 대잠능력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데, 세종대왕급은 만재 배수량 1만 톤이 넘는 함정이 3000톤 급 함정에서 사용하는 80년대 기술로 제작된 소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현재 KDDX용으로 개발 중인 신형 소나로 업그레이드 되거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셋째, 고고도 탄도미사일 요격은 불가능


“이지스함의 펀치력”이라고 함은 적의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관건입니다. 하지만 세종대왕급에 탑재된 SM-2 요격미사일은 “항공기와 순항미사일 요격만 가능”하며, 현재 세종대왕급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탐지는 가능하나 요격은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단, 2023~27년 배치될 차기   이지스함 3척에는 SM-3 탑재로 탄도미사일 요격이 가능해짐.) 



마치며, 이미 세계 톱급인 세종대왕급 이지스함은 중국이 그토록 과민반응을 보이는 사드(THAAD)와는 비교할 수 없는 막강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3년 이후 실전 배치될 차기 이지스함 3척은 현재 운용 중인 세종대왕급의 단점들을 개선해서 건조될 것이며, 이후 3개의 기동전단이 확보되면 해군은 그동안의 숙원이었던 3개의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기동함대 체제가 완성됩니다.



즉, 한국 해군과 해군의 이지스함은 머지않아 완전체가 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 Recent posts